미래의 동량인 초중고 학생들의 정신건강에 심각한 문제가 있다니 걱정이 크다.
우리나라 초중고 학생의 7.2%에 해당하는 15만명이 정신건강에 문제가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교육부는 지난 5월부터 7월까지 초 1·4학년과 중 1, 고 1 학생 211만996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3년 학생정서행동 특성검사' 결과를 23일 발표했다.
검사 결과 학교 내에서 지속적인 관리와 전문기관 의뢰 등의 조치가 필요한 '관심군' 학생은 7.1%인 15만2640명으로 집계됐다.
'관심군' 가운데 자살생각 등 위험수준이 높아 전문기관에 우선 의뢰가 필요한 것으로 조사된 '우선관리' 학생은 2.2%인 4만6104명에 달했다.
학교급별로는 사춘기 시기인 중학생이 정서적인 어려움을 가장 많이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심군으로 분류된 중학생은 전체 평균보다 높은 11.0%로 6만5840명에 달했다. 우선관리군도 3.5%로 2만744명이었다.
초등학생은 관심군이 3.4%로 3만685명이었고 우선관리군은 0.7%인 6529명이었다. 고교생은 9.0%인 5만6115명이 관심군으로 분류됐고 3.0%인 1만8831명이 우선관리군 이었다.
성별로는 여학생이 7.6%로 남학생(6.8%)보다 관심군 비율이 약간 높았다.
지역별로는 제주가 8.4%로 관심군 비율이 가장 높았고 대전(8.3%), 강원(8.1%), 충남(8.1%) 등에서 높게 나타났다.
반면 대구 지역만 관심군 비율이 4.5%로 다른 시·도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이는 대구가 경북대 의대 등 지역 내 31개 병·의원과 협력해 학생들의 치료를 돕는 등 위기 학생에 대한 지원에 적극적이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교육부는 분석했다.
17개 시·도 교육청은 특성검사 결과 정서적으로 어려움이 있는 학생에 대해 학교 내 상담을 실시하고 추가적 상담과 치료가 필요한 학생에 대해서는 지역 내 전문기관(Wee센터·정신건강증진센터 등)에 연계되도록 지원 중이다.
교육부는 현재 대구 등 6개 시·도교육청에서 운영되고 있는 '학생 정신건강증진 학교-지역협력 모델'을 2015년까지 전국 모든 시·도에 연차적으로 도입해 지역 병·의원이 학생 정신건강에 도움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초중고 학생들이 올바른 정신을 갖고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대단히 중요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정부는 이들이 성장한 이후에도 사회 구성원의 일원으로서 건강하게 살아갈 수 있도록 정신건강을 되찾을 수 있도록 하는 방안 마련에 적극적이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