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3광주시장]민주당 강세 속 비(非)민주 백맨 변수
호남신문 방문자
오늘 현재69,954,749명
검색 입력폼
지방선거

[6·13광주시장]민주당 강세 속 비(非)민주 백맨 변수

10명 안팎 '링 위에' 3-4월께 윤곽 드러날 듯
민주, 당원 명부·후보 연대·공정 경선 시험대
민평·미래 등 거물급 인사 등판 여부 관심사
민주, 기초 전략공천 도마, 비민주 인재 영입

6·13 지방선거가 넉 달 앞으로 다가오면서 광주시장 선거 구도도 서서히 윤곽이 잡혀가고 있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키 맨' 중 한 명인 이용섭 전 대통령직속 일자리위원회 부위원장이 공직을 사퇴하고, 윤장현 광주시장이 출판기념회를 열면서 경선전이 후끈 달아 오를 전망이고, 국민의당에서 분화된 민주평화당과 가칭 '바른미래당'은 요충지 광주를 공략하기 위해 경선이나 전략공천을 통해 '빅맨(Big Man) 카드'를 꺼낼 지 관심이다.
선거 구도가 복잡다단해지면서 변수도 그만큼 다양해지는 형국이다.
12일 지역 정가에 따르면 광주시장 선거전에는 공식출마 선언이나 출판기념회, 지지모임 포럼 출범식이나 토크 콘서트를 통해 현재까지 모두 10명 안팎의 입지자들이 후보군을 형성하고 있다.
현직 윤 시장을 포함, 이 전 부위원장과 강기정 대통령직속 지역발전위 자문위원장, 민형배 광산구청장, 양향자 민주당 최고위원, 이병훈 민주당 동남을 지역위원장, 최영호 남구청장, 나경채 정의당 전 대표, 윤민호 민중당 광주시당 위원장 등이다.
정당별로는 민주당이 7명으로 가장 많다. 예선격인 당내 경선에 나설 주자들이다. 정의당과 민중당은 나 전 대표와 윤 위원장을 본선 대표선수로 일찌감치 확정했다. 분당 갈등 끝에 두 쪽으로 쪼개진 국민의당 진영에서는 창당과 조직정비 등으로 어수선해 누가 민평당, 누가 바른미래당 후보로 나설 지 아직까지는 정해지지 않은 상태다.
당내 경선과 탈당 후 무소속 출마 등의 진통을 가정하면 최종 후보자는 4월 이후에나 최종 가닥이 잡힐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 민평당, 바른미래당, 정의당, 민중당, 무소속 등으로 라인업을 예상해 볼 수 있다.
현재로서는 각종 여론조사 정당 선호도에서 50% 내외의 지지율을 보이고 있는 민주당이 절대 유리한 상황이지만 표심을 좌우할 민심의 향배는 경선 등을 통해 단일후보가 정해진 뒤 윤곽을 드러낼 것으로 예상된다.
선거전이 달아오르면서 대결 구도를 뒤흔들 변수도 늘고 있다.
우선, 7인이 맞붙는 민주당에서는 경선이 본궤도, 즉 전원 링 위에 오를 경우 치열한 후보 검증이 예상되고 이 과정에서 경쟁 후보의 아킬레스건을 건드리는 난타전도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2전3기에 나선 이용섭 부위원장은 의원 시절 비서였던 일자리위 정책비서관이 당원 명부 유출 사건과 맞물려 논란이 된 10만 당원 실명문자 발송자로 검·경 수사 결과 드러나고, 전직 시당 조직국장의 명단 유출도 사실로 확인되면서 당원 명부사건이 정치적 부담으로 작용할 공산이 크다.
또 윤장현 광주시장은 임기 내내 발목을 잡아온 친인척 비리와 인사 논란이 '현직 프리미엄'을 깎아먹는 악재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고, 민형배 청장도 비서실장 구속과 같은 측근 비리가 정치적 짐이 되고 있다. 나머지는 지지율 견인과 인지도가 지상과제다. 불공정 경선 시비가 붙을 경우에는 '경선 보이콧'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지역 정가에서는 "유력 후보를 중심으로 한 단일화, 이를 견제하기 위한 상대후보 간 연대"도 예상하고 있다.
비(非) 민주당 진영의 움직임도 중요 변수다. 민평당의 경우 호남 최다선인 6선의 천정배(서구을) 의원과 초선이지만 전국적 인지도가 높은 김경진(북구갑) 의원의 등판가능성이 점쳐지고 있고, 바른미래당에서는 국회부의장 출신 박주선(동남을) 의원이나 4선의 김동철(광산갑) 의원이 상황에 따라 링 위에 오를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국민의당에서 갈라선 두 신당에서 나란히 또는 한 쪽에서 후보를 낼 경우 민주당 후보와의 '빅맨 매치'도 짐작케 하는 대목이다.
그러나 민평당은 원내 교섭단체 구성이 최우선 과제여서 현직의 출마는 녹록지 않은 상황이고, 반(反)안철수 정서가 강한 가운데 김동철, 박주선 의원이 '바른미래당 옷'을 입고 등판할지도 회의적인 시각이 많아 대결구도는 여전히 안갯속이다. 과거에는 국회의원은 의원직 사퇴없이 지방선거 출마가 가능했으나, 현재 공직선거법에서는 '지자체장 선거에 입후보한 경우 선거일 30일 전까지 의원직을 그만둬야 한다'고 명시돼 있다.
광주 5개 구청장 선거도 복잡하기는 마찬가지다. 동구의 경우 국회의원은 바른미래당, 구청장은 5개 자치구 중 유일한 국민의당 소속, 시의원은 2명 모두 민주당으로 나뉘어 안팎의 진통이 예상되고, 북구는 3선 연임 제한, 남구와 광산구는 광역시장 도전으로 무주공산이어서 전에 없는 혈전이 예고되고 있다.
당별로는 민주당은 기초단체장 전략공천이 '구태 회귀'하는 반발 속에서도 득이 될지, '폭탄 돌리기'로 귀결될지 관심이고, 민평당과 바른미래당, 그밖의 군소 정당은 경쟁력 있는 후보 모시기에 공을 들이고 있으나 결과는 장담할 수 없는 실정이다.
지역 정가 관계자는 "국회의원에서 기초의원까지 정치적 분화가 빠르게 이뤄지면서 6월 선거에도 적잖은 영향이 예상된다"며 "당내 경선, 전략공천, 민평당의 세몰이, 바른미래당의 선전 여부 등이 관심사이지만 현재로서는 어느 것 하나 예단할 수 없다"고 말했다.
뉴시스

오늘의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