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리쌀 42년만에 최대폭 상승, 쌀값도 들썩…심상찮은 곡물 가격
호남신문 방문자
오늘 현재69,943,676명
검색 입력폼
경제

보리쌀 42년만에 최대폭 상승, 쌀값도 들썩…심상찮은 곡물 가격

4월 보리쌀 가격 43.7% 상승…1983년 6월 이후 최대폭
이상기후로 보리 생산량 급감…"올해 수확은 이상 없어"
쌀값 4.5%↑, 9개월만에 반등…"작년 봄 할인행사 영향"
찹쌀 26.8%↑, 현미 14.9%↑, 혼식곡 8.5%↑…곡물가 들썩
먹거리 가격 상승에 가계 부담↑…정부 "필요시 신속 대응"

[호남신문] 가공식품, 축산물, 수산물, 외식 등 먹거리와 관련된 물가가 크게 오르면서 가계 부담이 커지고 있다. 4월 들어서는 쌀과 보리쌀 등 주요 곡물 가격도 줄줄이 오르면서 장바구니 물가에 비상이 켜졌다.
곡물은 우리가 매일 소비하는 식품이라는 점에서 가계 생활과 관련이 매우 높다. 최근 이상기후와 재배면적 감축으로 쌀을 비롯한 주요 곡물의 생산량과 가격 변동폭이 커지면서, 우리나라도 쌀값 폭등으로 혼란을 겪고 있는 일본과 비슷한 상황을 겪게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5일 통계청의 '4월 품목별 소비자물가지수' 통계를 보면 지난달 보리쌀 가격은 전년 동월 대비 43.7%나 급등했다. 지난 1983년 6월(44.6%) 이후 42년 만에 가장 큰 상승폭이다.
이상기후가 보리쌀 가격 급등의 원인이다. 보리쌀은 매년 겨울 파종해서 다음해 5~6월 수확하는데, 이상기후로 인해 2023년 심은 보리의 생산이 급감했다.
이에 따라 보리쌀 가격은 지난해 7월(13.6%)부터 9개월간 두자릿수 상승률을 이어가고 있다. 상승폭은 점점 커져 올해 들어서는 1월 37.0%, 2월 40.4%, 3월 41.8%, 4월 43.7%을 기록했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2023년에 심은 보리가 파종 때와 심을 때, 수확할 때 이상기후라고 할 정도로 비가 너무 많이 와서 생육이 안 좋았다"며 "그래서 생산량이 부족해 가격이 크게 상승한 것으로 파악됐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2024년도 말에 심은 보리는 현재까지 생육이 양호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며 "수확기에 비 등 이상기후로 인한 피해가 없다면 전년 대비 생산량이 증가할 걸로 기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4월에는 보리쌀 뿐만 아니라 주요 곡물 가격이 대부분 올랐다.
쌀은 전년 동월 대비 4.5% 상승했고, 현미(14.9%), 찹쌀(26.8%), 콩(4.5%), 혼식곡(8.5%)도 가격이 올랐다.
특히 쌀 가격은 지난해 8월(-1.5%)부터 8개월 연속 하락세를 이어가다가 플러스 전환했다.
지난해 10월 -8.7%에 달했던 하락률은 올해 들어 1월 -5.9%, 2월 -3.3%, 3월 -0.3%으로 점차 축소되더니 4월(4.5%)에는 상승폭이 전체 소비자물가상승률(2.1%)을 크게 상회했다.
옆 나라 일본이 최근 쌀 가격 급등 사태를 겪고 있기 때문에, 쌀 재배면적을 감축 중인 우리나라에서도 비슷한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존재한다.
다만 정부는 이번 가격 상승은 일시적인 것으로 보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 관계자는 "작년 3월과 4월 10㎏당 5000원 정도 할인 행사를 진행했기 때문에 소비자 가격이 낮은 편이었다. 올해 4월에는 그 기저효과 때문에 4월 4.5%가 오른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이 관계자는 또 "현미나 찹쌀의 경우 작년보다 생산량이 줄면서 가격이 상승한 것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쌀이 구조적인 공급과잉 상태에 있는 것으로 보고 재배 면적 감축을 추진 중이다. 지난 2022년 쌀 가격이 크게 하락한 뒤 안정세를 이어왔기 때문에 최근의 가격 상승은 크게 우려할 수준은 아닌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최근 먹거리 물가가 줄줄이 오르면서 쌀 등 곡물 가격이 가계에 심리적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은 커졌다.
통계청의 소비자물가동향을 보면 4월 식품 가격은 전년 동월 대비 3.3% 뛰었다. 수산물은 4.8%, 수산물은 6.4%, 가공식품은 4.1%, 외식은 3.2%씩 가격이 올랐다. 곡물 가격은 8.6%나 올라 다른 품목에 비해서도 상승폭이 더 컸다.
우리가 매일 소비하는 곡물은 장바구니 물가 뿐만 아니라 외식비나 급식비, 가공식품 가격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고, 가격·수급 불안이 나타나면 일본처럼 유통 물량이 급감할 우려도 있다.
이 때문에 정부는 민생과 밀접한 주요 품목의 수급·가격 변동과 유통 상황을 상시 점검하고 필요시 신속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농식품부는 "농축산물 물가 안정세가 지속될 수 있도록 농작물 작황 관리 및 축산물 수급상황 모니터링 강화를 통해 안정적인 공급 여건을 조성하고, 기상 급변 등으로 인한 수급 불균형에 대비하기 위해 선제적 비축을 추진하는 한편, 소비자 부담 완화를 위한 할인 지원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호남신문 ihonam@naver.com

오늘의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