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광주·전남경찰청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지난 24일까지 광주·전남지역에서 집계된 기관 사칭 피싱·노쇼 의심·피해 신고 건수는 총 56건(광주 47건·전남 9건)이다.
자영업자들을 상대로 벌어진 범행은 사기범이 특정 기관 소속 위조 신분증 등을 제시하고 식사 등을 대량 주문해 신뢰를 쌓은 뒤 기관에서 쓰일법한 물품을 대리구매 해달라는 방식이다.
이 과정에서 대리구매한 물품을 특정 유통업체를 통해서만 받을 수 있다며 수십만원 상당의 배송료를 별도로 요구, 물품을 받게 되면 배송료 돌려주겠다고 속이고 있다.
광주지역에서는 지난 1월 1건을 시작으로 2월 4건으로 늘었다가 3월 2건으로 감소한 뒤 4월에는 집계일 기준 무려 40건으로 폭증했다.
지난 23일에는 광주소방안전본부 소속 소방관을 사칭한 한 사기범범이 지역 장어 전문 식당에 식사를 주문했으나 식당 주인이 소방관서에 직접 사실관계를 확인하면서 피해를 예방했다.
군부대 관계자를 사칭한 사기범은 광주뿐만 아니라 전국 소재 식당을 상대로 사기 행각을 벌이고 있다. 식당에 음식을 대량 예약 주문한 뒤 특정 유통업체를 통해 받겠다고 하면서 배송료를 건넨 자영업자들 사이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교도관을 사칭하고 천막 업체에 천막을 주문한 사기범도 같은 수법을 썼다가 들통 나 광주교도소로부터 고발됐다.
전남에서도 피해가 잇따른다. 1월 1건 이후 잠잠하던 피해 신고는 3~4월 사이 도합 8건으로 늘었다.
지난달 13일 전남 영암 한 공구 업체에도 군 납품업체 담당자를 사칭한 사기범의 전화가 걸려왔다.
사기범은 앞서 같은 수법을 사용, '군부대에 공구를 납품해 달라'고 요청하며 해당 공구업체와 친분을 맺었다. 이후 '다른 업체와 군부대 식량 납품 계약을 맺었지만 계약금을 낼 수 없는 상황'이라고 속인 뒤 계약금 대납을 요구했다.
이에 속은 공구 업체 관계자는 신원불상인이 알려준 계좌로 1억6200만원을 송금한 뒤 연락이 두절되자 보이스피싱 범죄를 의심하고 경찰에 신고했다.
광주경찰은 현재 동일수법으로 확인된 건들을 병합해 수사하고 있다. 사기범들이 대포폰·대포통장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피해 회복이 어려울 수 있다며 예방을 강조하기도 했다.
경찰은 "대량·단체 주문 전화를 받은 때에는 선결제 및 예약금을 요구하거나 해당 기관의 공식 전화번호로 직접 확인이 필요하다"며 "단체주문 후 대리구매를 요구하는 경우에는 100% 사기이므로 비슷한 전화를 받았다면 즉시 112에 신고해 달라"고 했다.
김희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