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분기 보이스피싱 피해액 전년 대비 188% 급증
경찰청 국가수사본부는 "올해 1~3월간 보이스피싱 범죄 발생 건수는 5878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17% 증가했다"고 27일 밝혔다.
총 피해액의 경우 올해 1~3월 3116억원으로 전년 동기(1411억원) 대비 120.8% 증가했다. 건당 피해액은 올해 5301억원으로 전년 동기(2813억원) 대비 188.4% 늘었다.
경찰은 이처럼 보이스피싱의 범죄 피해가 늘고 있는 원인으로 ▲피싱범죄 시도 지속 증가 ▲다액피해 유발하는 기관사칭형 범죄 비중 증가 ▲보유자산이 많고 IT 이용에 비교적 취약한 50대 이상에 범죄 집중 등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경찰에 따르면 보이스피싱 통합신고센터로 접수된 신고 건수는 올해 1월 1만8419건 → 2월 2만3136건 → 3월 2만7791건으로 매달 증가했다.
기관사칭형 범죄 비중은 지난해 41%에서 올해 3월 기준 51%로 10%포인트 늘었고, 50대 이상 피해자 비중 역시 2023년 32% → 2024년 47% → 2025년 3월 기준 53%로 증가세에 있다.
범죄가 늘어나는 만큼 경찰 단속 역시 늘었는데, 경찰청은 올 1분기 6218명의 보이스피싱 사범을 검거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78% 증가한 수치다.
◆'악성앱' 다운로드 유도하면서 범죄 시작
경찰 관계자는 "피해에 이르기 전 속임수에서 빠져나오기 위해 국민 일상의 경각심이 절실히 요구된다"며 특히 악성앱 노출의 위험성을 경고했다.
경찰에 따르면 보이스피싱 범죄의 본격 시나리오는 피해자에 악성 애플리케이션(앱)을 설치하면서부터 시작된다. 금융회사나 공공기관에서 운영하는 앱인 것처럼 꾸며놓는 식이다.
예를 들어 본인이 신청하지 않은 카드배송에 대해 문의하는 피해자에게 "명의도용이 의심되니 소비자원에 신고하라"고 하거나, 저금리대출을 희망하는 피해자에게 "대출 신청을 위한 개인정보 입력이 필요하다"고 하며 악성앱 설치를 유도한다.
최근 경찰이 수사 과정에서 범죄조직이 사용하는 악성앱 제어 서버를 확인한 결과, 피해자의 이름과 전화번호, 휴대전화 기종, 통신사 등 기본정보뿐 아니라 통화내용 녹음, 원격제어, 피해자 실시간 위치정보까지 확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금융감독원, 검찰, 경찰 등 기관에서 사용 중인 전화번호를 목록화해 피해자가 어떤 번호로 전화를 걸더라도 범죄조직이 사용하는 하나의 번호로 연결되게 하거나, 피해자 휴대전화 화면에는 기관의 대표번호로 표시되게 조작하는 이른바 강수강발 기능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도 확인됐다.
◆"보안 위해 은행원에게도 말하면 안돼" 100% 사기
경찰은 각 범행수법에 대한 주의를 당부했다. 모르는 번호로 전화를 받았는데 다음과 같은 지시를 할 경우 100% 준비된 시나리오에 따라 움직이는 보이스피싱에 해당한다는 것이다.
키워드별로 구분하면 ▲사건을 조회하도록 유도 ▲수사보안을 유지해달라며 특급보안, 엠바고 요청 ▲구속수사가 원칙이나 편의를 제공하겠다며 약식조사, 보호관찰을 위해 숙박시설로 유도 ▲자산검수, 행정재산, 자산보호가 필요하다며 국가안전계좌, 보안계좌로 재산 이전 요구 ▲휴대전화 개통, 해외메신저 사용 요구 ▲감상문 제출, 정시보고 및 사생활 통제 ▲경찰·은행원에게 거짓답변을 하도록 지시 등이다
곽병일 경찰청 마약조직범죄수사과장은 "보이스피싱 범죄가 날로 조직화·고도화되면서 범죄발생 사후의 단속활동만으로는 피해자의 온전한 피해 회복이 어렵다"고 말했다.
이어 "경찰은 보이스피싱 근절을 위해 총력 대응을 이어나갈 것"이라며 "국민들께서도 피해에 이르지 않도록 경각심을 갖고 유행수법과 예방법 숙지에 늘 각별한 관심을 기울여 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경찰청은 보이스피싱 피해억제를 위해 지난해부터 시행 중인 악성앱 설치 의심자에 대한 현장 구제활동과 보이스피싱 예방홍보 콘텐츠 제작 및 연령별·지역별 맞춤 예방교육을 병행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지난 1월부터 제작 중인 보이스피싱 예방 웹매거진 '월간피싱 제로'의 배포처를 점차 확대하기로 했다.
서선옥 기자 ihonam@naver.com